르장틴리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index

news

works

bio

cv

contact

아르장틴리는 1975년 부산출생, 1997년 부산대학교 서양화과 출신의 재불작가이다. 현재 파리 부산 서울 도쿄 등지에서 활동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국제전 기획등을 맡기도 했다. 비디오 설치와 멀티미디어를 응용하여 기계와 인간의 조우에 대한 작품세계를 펼쳐오고 있다. 2000년 런던 아틀란티스 갤러리, 2003년 파리 파사쥬 드 레츠, 팔레드 도쿄 전시 및 도쿄전시, 2005년 서울시립미술관 청계천을 거닐다전 등에 참가하였고, 2006년 부산시립미술관 창문들전, 2007년 파리 대안공간 맨되브르의 가상왕복전 등을 기획한 큐레이터이기도 하다. 디지털 미디어와 철학들에 주력한 작품세계를 펼쳐오고 있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작가글

인공지능에 기반을 둔 테크네의 발달과 미래 기술과 관련된 인간의 정체성에 대한 문제제기

전자매체의 지속적인 발달 속에 인간 정체성의 문제는 뉴미디어와 신테크놀러지의 전개에 앞서서 중요한 문제로 다루어 져야 하지 않을까 ? 디지털 세상에 항시 " 접속 " 해 있는 인간의 행위는 정보를 검색하고 전자기계를 사용하고 영향받는 단계를 넘어서서 새로운 형태의 삶을 수용하게 되었다 . 오늘날 사이보그가 우주의 어떤 상황에서도 견뎌낼수있는 조건으로 연구되어지듯이 , 미래에는 인간의 인체나 기능 또한 인공적인 대상으로서 연구되고 컨트롤되고 재결합되고 복제되고 변형되는 과정을 거쳐 , 항시 최신의 테크네로 업그레이드를 전향하게 되는 시대가 다가오고 있다 . 이러한 포스터휴먼의 시대의 입구에서 인간은 유기체로서의 인체를 멀리하고 , 인간영혼이나 정신과 관련된 창의적인 잠재성에 대한 가능성과 기대는 현시대의 사용되어지는 테크네의 부속품으로서 기술적인 범주 속에 틀을 지워지게 될 것이다 . 일찍이 질베르 시몬돈이나 폴비릴리오 , 베르나르 스티글러 등의 철학가들은 인간정체성과 과학기술의 문제를 50 년대부터 오늘날까지 제기해 오고 있으며 , 그들의 지적은 과학이 인간의 정신적인 가치를 기계장치화하는 극단적인 상황에 대한 척학적 염려를 충분히 담아내고 있다 . 미쉐 푸코가 감시와 처벌의 개념으로 현 세계화 대도시 사회의 단체와 개인의 관계에 대한 통제의 동시대적 개념을 그의 독특한 문체로 실랄하게 분석해왔듯이 , 컴퓨터와 방송으로 대표되는 미디어 매체가 일상생활에 전파되는지를 90 년대말에서 오늘날까지 경험한 나는 오늘날 달라진 인간생활의 감성의 전자매체화를 마르쉘 루한과는 상반되는 시각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 비록 " 인공 " 이 현시대에 유용한 개념으로 스탠다드한 생활을 조작하여 인간의 편리에 유용하게 쓰여지고 있지만 , 인공적인 테크네의 폭팔적인 전개앞에 인간의 생물적 잠재력과과 정신성은 디지털 세계화에 가장 불량한 부품으로 전략되어지는 것이다 . 예술이 미학적인 관점으로 인간 감성의 표현의 정수역활을 해오면서 몇만년의 역사를 자랑해 왔다면 , 현 인공테크네 컨트롤 시대에서 인간감성은 어떠한 철학과 도구로서 사용되는지에 대하여 , 나는 미술가로서 미디어란 매체를 전반적으로 다루면서 과학적 논리와 감성의 대립 , 즉 신뢰나 사랑 , 이해심과 같은 인간성과 관련된 인간과 기계의 대립 문제를 작품을 통하여 제기하고 있다 ...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écrit par le curator du Musée d'art moderne de la ville de Busan en Corée du Sud

 

Gyu Sik AHN, Curator of Busan Museum of Modern Art


" Argentinelee - A metaphor of inversion to the "fragility"
The works by Argentine Lee have been expressed the problem of present technological environment comparing to the relationship of a strong man and weak man with new media such as computer, digital video and digital sounds. The (Collective Projection) in this exhibition is a work of same context and observes various meaning derived from inserting audience and art work.
A thousand of dishes on the floor that begin from the entrance can be seen at a glance. There is writing on the dented surface of each dish. It looks like a name. Over the dished, there are sixteen TV monitors put on the inner area of exhibition hall with regular intervals and rough breathings of naked people of various races and sex can be seen from the monitor. These arrangements of dishes and images are quite unnatural and it is because the connection of two mediums is not easily captured and it generously gives a feeling of oppression. The sounds of step on the dishes walking through to the inside of exhibition hall increase the curiosity about the artist's intention. On the other hands, the naked images of TV monitor stopped rough breathing and stay in the calmness armed with iron armor. The transforms of monitor images are repeated periodically according to a certain flow.
It seems that the artist intends to step on the dishes to see the image of TV. The audiences are very careful when they enter the entrance but soon they are accustomed to step on the dishes. One question is coming out here. Why the names are written on the dishes that will be broken? (It is easily noticed that the writings are names of people). It is known that the artist wants to give a life to dishes by naming (it is a name of existing person printed on the transparent tape) each one from the interview with the artist. In other words, she treated dishes as a existence of man character rather than a thing and she wants to express functional relation between the action of stepping and breaking , and stepped and broken. The functional relation is probably the relationship between a weak man and a strong man, in other words it is a relationship between a force and pain. She put the audience on the strong side and the dishes on the weak side. Therefore she wants to make people who have been lived without a consideration to the weak person experience how the force of strong man affects to the weak person.
She exposed a vital part of present society. It is a problem about the isolation of individuals that experiences in the group and it is unexposed but more serious problem of current society. The darkness after the post industrial society such as moral slackness, absence of tradition, lost of identity by them, break of mutual trust and ferocity of the capitalism leads a person to the sealed closet. She shows this extreme individual situation through the image of people armed with iron armor. Naked people show the life activity without slip on anything. They confirm their life breathing roughly as if they don't aware of the existence of others but soon they hear other's breathing and start to aware their freedom is interrupted. As that awareness is getting closer, they operate the mechanism to instinctively protect themselves. With the shut of protecting layer, their freedoms are locked in the silence like the grave. The artist produces our reality like a play on the stage by repeatedly showing this process. However this work that shows the irrationality of present society requests a new inversion instead of staying as a tragic drama. The inversion is a recovery to the relationship that can be trust each other, in other words, a recovery of humanity." _Gyu Sik AHN, Curator of Busan Museum of Modern Art, 2004

 

 

 

up